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KT가 올해 매출목표를 지난해보다 5000억여원 늘어난 19조5000억원 이상으로 잡고 본격적인 합병 효과 가속화와 신시장 <BR>개척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.<BR><BR>KT는 이를 위해 `컨버전스&스마트'란 성장 화두를 꺼내들었다. 아이폰으로 촉발된 무선인터넷 시장의 확대와 융합기반의 <BR>B2B시장 확대를 통해 매출 19조5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포석이다.<BR><BR>KT가 이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합병의 시너지 창출과 컨버전스&스마트 전략의 조기 궤도 진입에 달려있다는 <BR>분석이다.<BR><BR>합병시너지에 대해서는 `아직은 윗돌빼서 아랫돌 괴기'란 지적이 많다. 지난해 무선사업의 성장으로 유선사업의 매출감소를 <BR>방어하며 간신히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지만, 이를 시너지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.<BR><BR>KT의 지난해 이동전화 매출액(단말기 매출 포함)은 9조6609억원으로 전년대비 5.8% 성장했다. 반면 지난해 유선전화 매출은 <BR>VoIP(인터넷전화) 등의 성장에도 불구 지난해보다 8%가량 준 4조8527억원을 기록했다.<BR><BR>이처럼 무선이 유선을 방어하는 구조는 올해도 상당부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. 다만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한 데이터 분야 <BR>매출 확대는 무선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할 대목이다.<BR><BR>관련해 KT는 지난해 이동전화 데이터매출이 1조18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%나 증가했다. 올해는 와이파이 등을 지원하는 <BR>다양한 스마트폰과 피처폰을 출시해 스마트폰 리더십을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.<BR><BR>무선데이터 확대와 함께 궁극적인 유무선간 합병 시너지는 융합기반의 B2B시장 확대에 사활을 거는 분위기다. KT는 이종산업의 <BR>비용 감소와 이익 극대화를 도모하는 스마트(S.M.ART) 전략을 내놨다. 기업(Smart Enterprise), 소호 및 중소기업(Smart SOHO/SMB), <BR>공공(Smart Government), 빌딩(Smart Building), 공간(Smart Zone), 그린(Smart Green) 등이 6개 집중 공략 분야다.<BR><BR>그러나 이같은 스마트 전략은 SK텔레콤의 IPE(산업생산성증대), 통합LG텔레콤의 탈통신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굵직굵직한 <BR>매출로 이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.<BR><BR>성장 동력 확보와 함께 유선사업의 연착륙은 여전히 올해도 화두가 될 전망이다. 유선전화를 제외한 초소속인터넷, 인터넷데이터<BR>센터(IDC) 등도 모두 감소했다. 이 분야 매출은 지난해 2조5741억원으로 전년대비 3.4% 줄었다. 그나마 와이브로와 IPTV가 성장세로 <BR>올라선 것이 위안거리다. 와이브로는 전년대비 68% 늘어난 1270억원, IPTV는 113.4% 늘어난 994억원을 기록했다. 그러나 워낙 매출 <BR>규모가 작아 아직은 의미를 담기 어렵다.<BR><BR>업계의 한 관계자는 "지난해 연말 KT가 대규모 명예퇴직을 통해 구조조정을 진행한 것은 일시적 비용 증대를 낳았지만 장기적으로 <BR>경영 효율화에 기여할 것"이라며 "올해는 유선사업의 방어와 무선사업의 성장, 컨버전스 분야의 시장 확대란 세가지 고민을 동시에 <BR>풀어가야할 것으로 보인다"고 말했다.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